본문 바로가기

db

[DataBase]3층 스키마에 대해 알아보자 1. 3층 스키마란? ◎ 사용자, 설계자,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보는 관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기술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정의한 ANSI표준이다. ◎ 3층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 ◎ 데이터의 독립성을 확보하면 데이터 복잡도 증가, 데이터 중복 제거, 사용자 요구사항 변경에 따른 대응력 향상, 관리 및 유지보스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 ◎ 3단계 계층으로 분리해서 독립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각 계층을 View라고도 한다.3층 스키마의 독립성 독립성 내용 논리적 독립성 저장구조가 변경되어도 응용 프로그램 및 개념 스키마에 영향이 없다. 물리적 독립성 데이터베이스 논리적 구조가 변경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에 변화가 없다. 2. 3층 스키마의 구조구조설명외부스키마- 사..
<MongoDB> 몽고DB란 무엇일까?? 몽고DB? Oracle, mysql같은게 아닌가?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자! 1. 몽고DB란? 데이터 객체들이 컬렉션 내부에서 독립된 문서로 저장되는, 문서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No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몽고DB는 컬렉션을 사용해 데이터를 하나로 묶습니다. 컬렉션(Collection)이란 용도가 같거나 유사한 문서들을 그룹으로 묶은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컬렉션은 기존의 SQL DB의 테이블처럼 동작합니다. 문서(Document)란 몽고DB내에 있는 하나의 실제데이터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컬렉션은 한개 이상의 연관된 실제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문서들은 내부 하위 문서들을 포함하고 있어 애플리케이션에 가까운 고유 데이터 모델을 제공합니다. 문서들은 BSON으로 저장됩니다. BSON이란 이진..
[JDBC]로그인페이지를 을 만들어 봅시다. 홈페이지에서 중요한 회원가입을 DB와 연동하여 만들어 보았습니다. 로그인 페이지 - 로그인만을 위하여 심플하게 만들었습니다. -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텍스트상자에 넣고 로그인을 누르면 넘어가는 방식입니다. - 회원가입을 통해 DB에 아이디, 패스워드 및 개인정보들을 넣어두고, 로그인 할 때 DB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져와 비교하여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로그인 화면 코드)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 function submit(){ document.aa.submit(); } //함수 호출하여 aa이름의 폼의 submit 실행 로그인 로그인 페이지 아이디 패스워..
(DB) SQL이란 무엇인가? SQL에 대해 글을 썼지만...SQL이 뭔지 알아야 할 것 같다, SQL이 뭘까?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란 무엇인가? ▷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언어이다. ▷ 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 질의, 보호(보안) 명령문으로 구성되어있다. ▷ SQL은 관계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비절차적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분류한다. ▣ SQL기능에 따른 분류 ▷ 데이터 정의어(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 테이블의 관계의 구조를 생성하는데 사용하며, CREATE, ALTER, DROP 등이 있다. ▷ 데이터 조작어(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 - 테이블에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는데 사용하며, SELECT, I..
(DB)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종류엔 무엇이 있을까?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 계층데이터 모델(Hierarchical Data Model) ▷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Entity)의 구조가 상하 종속적인 관계로 구성 ▷ 개체를 노드로 표현하고 개체 집합들 사이의 관계를 링크로 연결한 트리(Tree)형태의 자료구조 ▣ 망 데이터 모델(Network Data Model) ▷ CODASYL이 제안(CODASYL DBTG 모델이라고도 함) ▷ 그래프를 이용해서 데이터 논리구조를 표현한 데이터 모델 ▷ 상위와 하위 레코드 사이에서 다대다(N : M) 대응 관계를 만족하는 구조 ▣ 관계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 ▷ 개체 집합에 대한 속성 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개체를 테이블(Table) 로 사용하고, 개체 집합..
(DB)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란 무엇일까? DB를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DBMS란 무엇인지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란? ▷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집합 ▷ DBMS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삽입/삭제/수정을 할 수 있다. ▣ DBMS의 기능 ▷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 DB의 데이터는 실세계를 적용하는 규칙을 항상 만족해야 한다. - 서로 다른 부분에 있는 두 개의 데이터가 서로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 DBMS의 특성 ▷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 - 한 속성에 가해진 변경이 동일한 테이블에서 다른 속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것을 의미한다. ▷ 참조 무결성과 데이터 무결성 - 응용프로그램 개발 시..
(DB)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데이터베이스 많이 들어 봤지만 생소하기도 한 단어이다.이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 자료(Data) -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값. ▷ 정보(Information) -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 - 자료를 가공(처리)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의미 ▷ 데이터베이스 - 어느 한 조직체의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여 저장한 운영데이터의 집합. - 공동의 목적을 지원하기 위한 서로 관련된 자료들의 모임. - 주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데이터들의 모음. ▣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산재되어 있지 않고, 한 곳에 있어야 한다. - 모든 데이터가 ..
(SQL)프로시저와 함수의 모임 패키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 패키지란?? ▷ 연관성이 있는 함수나 프로시저를 그룹으로 모아놓은 개념이다. ▣ 패키지의 구성 ▷ 선언부 + 몸체부로 구성되어 있다. ※ 패키지 선언부에 선언이 되어있지 않더라도 패키지 몸체부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권장사항은 아니다. ◈ 선언부 ▶ 구문 형식 - CREATE [OR REPLACE] PACKAGE 패키지명 IS [AS] PROCEDURE 프로시저1이름. PROCEDURE 프로시저2이름, . . . END; / ◈ 몸체부 ▶ 구문 형식 - CREATE [OR REPLACE] PACKAGE BODY 패키지명 //선언부와 패키지명이 같아야 한다. IS [AS] PROCEDURE 프로시저 이름 subprogram bodies : 실제 작동하게 될 서브프로그램(프로시저, 함수) en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