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SQL) PL/SQL 기본적인 변수에 대하여 알아보자 ▣ PL/SQL의 변수를 선언해보자 ▷ 변수의 생성 규칙 1. 반드시 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2. 문자나 숫자, 특수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3. 변수명은 30Byte 이하여야 한다. 4. 예약어(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된다. ▷ 변수의 선언은 선언부(Declare)에서 선언되고, 값으로 초기화가 가능하다. ▷ 실행부에서 실행될 경우, 값이 할당된다. ▷ 서브프로그램 파라미터로 전달되기도 하며, 서브프로그램의 출력결과를 저장하기도 한다. 변수선언의 예시) ◎ 변수명 유형 - emp_no number(6,3) : 숫자를 저장하는 변수로 총 6자리를 의미하며, 소수점 이하 3자리를 의미 - emp_name varchar2(5) : 문자를 저장하는 변수를 의미하며, 총 바이트 길이는 5byte 를 저장할 수 있..
[SQL] PL/SQL이란 무엇일까? ▣ PL/SQL(Procedure Language/SQL)이란 무엇을까? ▷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적인 요소를 다 갖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최적화된 언어이다. ▶기본 구조◀ ▷ 선언부(Declare) : 모든 변수나 상수를 선언하는 부분 ▷ 실행부(Executable) : begin~end / 제어문(if), 반복문, 함수정의 등의 로직을 기술하는 부분 ▷ 예외처리부(Exception) : 실행도중 에러 발생 시 해결하기 위한 명령들을 기술하는 부분 Declare, begin, exception 키워드들은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고, 나머지 문장들은 ;(세미콜론)으로 처리한다. ▷ 익명블록(Anonymous PL/SQL Block) : ..
(SQL) SQL Developer를 설치해보자! 오라클의 무료 툴인 SQL Developer를 설치해보자! 1. https://www.oracle.com/ 에 접속한다. 2. Downloads and Trials → Developer Downloads 접속 3.아래로 내려 Developer Tools의 SQL Developer 클릭 4. Accept License Agreement를 누르고,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 JDK가 설치 되어있지 않으면, Windows 64-bit with JDK 8 included 다운 - JDK가 설치 되어있다면 Windows 32-bit/64bit 다운 5. sqldeveloper.exe 실행 6. 설치된 JDK 위치를 선택한다. 7. 왼쪽 위 +를 누르고, 새로 만들기 창에서 내용들을 입력한 후 테스트를 눌러 접속을..
[SQL]OUTER JOIN(외부조인)에 대해 알아보자! ▣OUTER JOIN(외부조인)이란? ▷OUTER JOIN은 조인하는 여러테이블에서 한 쪽에는 데이터가 있고, 한 쪽에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데이터가 있는 쪽 테이블의 내용을 모두 출력하는 것입니다. 즉, 조건에 맞지 않아도 해당하는 행을 출력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OUTER JOIN의 종류 1) LEFT OUTER JOIN : 조인문의 왼쪽에 있는 테이블의 모든 결과를 가져 온 후 오른쪽 테이블의 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NULL로 표시한다. ex) SELECT 검색할 컬럼 FROM 테이블명 LEFT OUTER JOIN 테이블명2 ON 테이블.컬럼명 = 테이블2.컬럼명; SELECT 검색할 컬럼 FROM 테이블명, 테이블명2 WHERE 테이블.컬럼명 = 테이블2...
[SQL]INNER JOIN(내부조인)에 대해 알아보자! ▣ JOIN(결합구문)이란 무엇일까? ▷ 한 데이터베이스 내의 여러 테이블의 레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열로 표현한 것 입니다. 따라서 조인은 테이블로 저장되거나, 그 자체로 이용할 수 있는 결과 세트를 만들어 냅니다. ▷ JOIN은 2개의 테이블 내에서 각각의 공통값을 이용함으로써 필드를 조합하는 수단이 됩니다. ▣ INNER JOIN의 종류엔 무엇이 있을까? 1) INNER JOIN : 내부 조인은 둘 이상의 테이블에 존재하는 공통 속성의 값이 같은 것을 결과로 추출합니다. Ⅰ) 동등 조인(EQUI JOIN) : 둘 이상의 테이블에 존재하는 공통 속성의 동등 비교만을 사용하며, 부등호 조인은 동등조인에 포함하지 않는다. ※ 조인 문법은 명시적 표현법과 묵시적 표현법이 있습니다. A )명시적 표현법은 명..
(SQL)스키마(SCHEMA)에 대해 알아보자!! ▣ 스키마(SCHEMA)란?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해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입니다. -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과 속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개체,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들을 기술한 것입니다. - DB내에서 어떤 구조로 데이터에 저장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스키마라고 합니다. - DB내에 있는 데이터 논리적 단위 사이의 관계성을 표현합니다. -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개념, 내부 스키마로 구분합니다. ▣ 스키마의 특징 - 스키마는 데이터 구조적 특성을 의미합니다. -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에 저장됩니다. - 스키마는 현실 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서 만들..
(SQL)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이란 무엇일까?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이란? ▷ DCL(Data Control Language)에서 트랜잭션을 제어하는 명령인 COMMIT과 ROLLBACK만을 따로 분리해서 TCL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COMMIT 연산 ▷ COMMIT 연산은 트랜잭션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어 트랜잭션이 수행한 변경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연산입니다. ▷ 내용을 변경한 트랜잭션이 완료되면 그 트랜잭션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는 새롭게 일관된 상태로 변경되며, 이 상태는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취소되지 않습니다. (COMMIT 연산 실행)※ 지금까지 해온 작업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합니다. ◈ROLLBACK 연산 ▷ ROLLBACK 연산은 하나의 트랜잭션 처리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데이..
(SQL)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해 알아보자!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 트랜잭션은 업무처리를 위한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말합니다. 1. 트랜잭션의 특징1. 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은 더이상 분해가 불가능한 업무의 최소 단위이므로, 전부 처리되거나, 아예 하나도 처리되지 않아야 합니다. 2. 일관성(Consistency) : 일관된 상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작업을 완료하고 난 후에도 데이터베이스는 여전히 일관된 상태여야 합니다. 3. 격리성,독립성(Isolation) : 하나의 트랜잭션이 작업을 하고 있을 때 다른 트랜잭션은 접근할 수 없습니다. 가. 낮은 단계의 격리성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입니다. 1) Dirty Read :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수정되었지만 아직 커밋되지 않은데이터..